
지역주도의 과학기술진흥을 위한
경남연구개발지원단
연도별 R&D 조사분석 요약
2023년 지역 연구개발사업 총괄 집행현황
총괄 집행 현황
-
2022년 17개 광역시・도의 연구개발사업 총 집행액은 272,770억원(국비 259,717억원, 지방비 13,053억원)으로 최근 3년간(’20~2022년) 연평균 7.1% 증가
- 최근 3년간 국비는 연평균 6.9%, 지방비는 11.9% 증가하여 지방비의 증가율이 더 높은 수준
- 과제수는 연평균 0.5%로 전년 대비 증가했으며, 과제당 집행액은 매년 증가 추세
※ 과제당 집행액 : 3.2억원(’20년) → 3.5억원(’21년) → 3.7억원(2022년)

<지역 연구개발(R&D) 총괄 집행현황 추이-집행액 및 세부과제 수, 2020~2022>
-
R&D 재원유형별로 보면, 순수국비R&D, 국비-지방비 매칭R&D, 지자체 자체 R&D 모두 증가
- 순수국비R&D 전년대비 6.2% 증가한 245,603억원, 국비-지방비 매칭 R&D는 26.2% 증가한 22,713억원, 지자체 자체 R&D는 1.4% 증가한 4,454억원
- 최근 3년간 지자체 자체 과제는 연평균 5.5% 감소했지만, 국비-지방비 매칭과 순수국비 과제는 각 30.1%와 5.8% 증가

<지역 R&D 재원유형별 집행현황 추이, 2020~2022>
시도별 집행 현황
-
2022년 17개 광역시・도 연구개발사업 총 집행액 272,770억원 중 지역별 집행액은 대전 75,688억원(27.7%), 서울 53,251억원(19.5%), 경기 31,540원(11.6%) 등의 순으로 대전 및 수도권 지역이 절대적 비중을 차지
-
수도권(서울, 경기, 인천)과 대전을 제외한 지방의 연구개발사업 집행액은 2022년 106,745억원(39.1%)으로 집행액 규모는 전년 대비 6,865억원 증가
- 지방 R&D 집행 추이 : ’20년 96,688억원(40.7%) → ’21년 99,880억원 (39.4%) → 2022년 106,745억원(39.1%)
- 수도권 및 대전을 제외한 지역 중에서는 경남 21,308억원(7.8%), 부산 12,354억원(4.5%), 전북 10,405억원(3.81%)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남

<17개 광역시・도 R&D 집행현황 추이, 2020~2022>
R&D유형별 과제 집행현황
-
2022년 17개 광역시・도 모두 순수국비R&D의 비중이 절대적인 수준
- 순수국비 R&D의 비중은 대전(97.2%), 세종(96.6%), 인천(94.9%) 등의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
- 국비-지방비 매칭 R&D의 비중은 충북(32.7%), 충남(29.3%), 강원(24.7%) 등의 순
- 지자체 자체 R&D의 비중이 높은 지역은 전남 (8.0%), 강원(4.7%), 경기(3.6%) 등의 순으로 타 시도대비 높은 수준

<17개 광역시・도 R&D 재원유형별 집행현황, 2022>
신규·계속연구별 과제 집행현황
-
2022년 17개 광역시․도의 연구개발사업 중 신규연구는 31.4%(85,718억원), 계속 연구는 68.6%(187,052억원)으로 계속연구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
- 신규연구는 경남이 40.7%(8,678억원)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, 그 다음으로 세종이 40.2%(2,524억원), 부산 37.5%(4,634억원) 등의 순으로 나타남
- 계속연구는 대전 74.4%(56,275억원), 울산 72.9%(2,906억원), 광주 72.0% (4,341억원), 전북 71.7%(7,458억원) 등의 순으로 나타남

<17개 광역시・도 R&D 신규·계속연구별 집행현황, 2022>
R&D 조사분석 자료
-
2025-03-20
-
2025-03-14
-
2025-03-14
-
2025-03-14